아동기에 발생하는 자폐증 증상은 자신의 세계에 갇혀 지낸다 하여 자폐()라고 불리는 발달장애입니다 자폐증 증상과 원인에 관한 상식을 간략히 요약해 보았습니다
1943년경에 진단된 자폐증 증상은 사회적교류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언어발달지연 행동상 문제 현저히 저하된 활동과 관심 등이 특징입니다 자폐증은 소아 1000명당 1명 정도가 가지고 있으며 보통 36개월 전에 나타나는데 언어장애 학습장애 간질 등의 장애가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공격적이며 기괴한 행동을 하고 때론 자해행위를 하기도 합니다
자폐증의 원인은 임신과 분만을 전후로 한 합병증 경련성 질환과의 연관 대사장애 감염 출생 전후의 뇌손상과 내염 선천성 헤르페스 뇌염 및 풍진 감염 뇌구조 이상 유전적 요인 등 그 요인은 정말 다양합니다
자폐증의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
- 유아기 때 다른 사람과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 하고 신체적 접촉도 싫어합니다
- 사람보다도 장난감 등에 관심이 많으며,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고 마치 다른 사람들이 옆에 없는 것 처럼 행동합니다
- 부모에 대한 애착이 없고 이별에 불안해하지 않으며 낯가림도 없는 편입니다
- 학교에 다녀도 친구가 없고 성인이 되어도 대인관계가 어려우며 이성 관계를 맺지 않습니다
- 말 그대로 자신만의 세계에서 사는 것처럼 보이며, 아주 극단적인 기쁨이나 분노 또는 고통을 제외하고는 얼굴에 감정 표현이 없습니다.
- 옹알이를 하지 않고 말을 할 때가 지났는데도 말을 못 하며 괴상한 소리를 지릅니다
- 남이 한 말을 따라하는 등 반항 언어를 보이며, 너무 크거나 너무 조용하게 이야기합니다
- 외국에서 살지도 않았는데 외국어 억양을 쓰기도 하고, 신조어를 만들거나 대명사를 전도하는 등 다양한 오류를 보입니다
- 물건을 의미 없이 회전시키거나, 발가락 끝으로 걷거나, 이유 없이 몸을 흔들거나 전기 스위치를 켰다 끄기를 반복합니다
- 주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똑같은 것을 고집하며, 한 가지 질문을 반복적으로 하며 매우 산만합니다
- 머리를 일부러 부딪치거나 자신의 피부에 손상을 주며, 머리카락을 뽑는 자해행동을 합니다
- 숫자나 순서에 병적으로 집착하거나, 장난감이나 사물에도 병적으로 집착합니다
- 그 외에도 남들이 이해하지 못할 이상한 행동을 상동적으로 합니다
자폐아동은 70~80%가 정신지체를 동반합니다 결국 자폐아동 경우는 지적능력이 낮을 경우에 사회적 응이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답니다 자폐장애는 만성질환으로 그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. 그러나 조기발견과 조기 치료를 받는다면 성인이 된 후에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간헐적으로 받으면서 어느 정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
자폐증 치료는 언어치료 놀이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감각통합치료 특수교육 약물치료가 있으며 가정에서의 문제행동 수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
- 수정하고 싶은 행동의 목록과 문제 행동의 목록을 만든 다음 수정하기 쉽고 빨리 수정할 것부터 우선순위를 정합니다
- 문제 행동은 한 번에 하나의 행동만 교정한 후 다음에 또 다른 행동을 교정합니다
- 아이가 싫어하거나 저항하면 강제로 하지 않으며 상동 행동과 같은 것도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줍니다